Results matching “farm”

Bye Movable Type Professional Pack (Professional Blog)

  • Posted on
  • by
  • in
More than five years, Movable Type Professional Pack (Professional Blog Template) kept the position of main theme for kokeb.net with flexibility over multiple column design for PC-based web browsers. The advent of mobile and portable devices triggered the transition to convert existing HTMLs to mobile aware ones. The completion of those small projects made me chuckle with happiness that I attained higher degree or depth in Movable Type manipulation. On the other hands, I should have spent most of time to wrestle with my poor taste in design, templates, and codes instead of putting high quality blog posts.

Recently, I completed migration with the template, called Rainier. It will switch styles dynamically based on types of devices or browsers accessing the blog; No need to keep two types of HTMLs for PC-based or mobile browsers as I did before. All DNS and web server configurations fixed accordingly, such as m.kokeb.net, kokeb.net/m, kokeb.mobi, and so on, not to make search robots grumble.

The last screen shot with professional pack is as follows.

The first term Chinese class review (Mandarin)

  • Posted on
  • by
  • in
Three months beginner's class finished last Friday. Regardless of fluency or literacy, one of the greatest achievement from this term is that I marked only one day absence (make-up class was offered, fortunately) and that I did not skip any home assignment. Such a good student! :-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should still come with pinyin typeface to pronounce properly. Simple greetings, basic grammars, and pronunciation with proper toning are at my fingertips. The entire course plan guides me to three more terms (consecutive nine months, too long journey though) to get ready for minimal daily conversation. In other words, I can say, "I just started three months ago. I just got involved as a novice."



I did not put my name on the next term roster to have a kind of break. So many affairs challenging, compelling, obligatory from office to home are awaiting me these days. Furthermore, my brain is inundated with enormous amount of vocabularies from English, Amharic, Japanese, Chinese, and Korean. (mother tongue also needs some improvement this moment)

It's high time for me to sink heat on my CPU. I have to forget what I had learned so far to recollect them some day even though this strategy may be adverse to the principle of forgetting curve by Hermann Ebbinghaus. Or, my brain will become walking explosive. :-D
People often say, "Farming is one of faithful labors in this world." We can harvest the field as much as we plough, seed, care, and do our best involving patience as well as thorough diligence. This citing shall apply to my farming these days. Undergoing harsh pain over the couple of months with some matter, I could not work on farming at all. At the same time, the last blog post here lasted nearly two months. Anyway,

Recent torrent rainfall and soaring temperature had slashed my farm block seriously. Wet ground could not sustain maize to fall down over hot pepper and tomato section. Their growth is now in stuck. Repetition of rain and sunshine led excessive growth of lettuce varieties making them inedible.



I spent last weekend in erecting maize stems, fixing sustaining poles for tomato and hot pepper, and eradicating overgrown lettuce. I could get considerable amount of maize crops while cutting off broken maize stems. Hot peppers and tomatoes seemed to need more time to get ripe. Another month will make the remaining ready for harvest by a rule of thumb.



In a month, I will be completely re-plowing my block for autumn vegetables such as cabbage, radish, and so forth. The first half of farming season is nearly at an end this moment. The yield was not so bad in comparison with tha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last year. However, last year's experience in farming did not help much toward higher yield rate, I think. Knowledge from experience is one thing and doing what I know is totally another.

Simply speaking, this circumstance came from lack of patience and diligence!

Green peas are creeping over the ground!

  • Posted on
  • by
  • in
This is attributed to a lazy farmer, Hyok Kim. :-D Anomaly in climate does not make sense any more. Erecting them with strings across stakes should be the highest priority task upon the next visit.



I spent more than half an hour in watering my block. It looks like a farm at last.

보름 여 작업 끝에 베란다 정원을 완성했다. 주말에만 작업을 했으니 실제로는 4-5일 정도. 건장한 남자 두 명이 투입된 나름대로 힘든 작업이었다. 처음에는 화원이나 조경 업체에 맡기려고 했으나 제시하는 비용이 수백 만원 수준이라 직접 해보기로 했다. 인터네트에 자료들이 많은데다 재료 역시 통신 판매로 쉽게 구할 수 있어 100만원에 훨씬 못 미치는 비용에 완성했다. 매 주말마다 온몸이 쑤시는 고통을 겪어야 했으나 해 놓고 보니 뿌듯하다. 작업 도중에 삽질한 것을 감안해 베란다 정원 꾸미기 순서를 정리해 본다.



Balcony Garden on Show



순서를 정리하면 대략 아래와 같다.
  • 1단계: 방수 비닐 깔기, 배수판 깔기, 부직포 깔기
  • 2단계: 화단 조성 (흙, 담장 등 설치)
  • 3단계: 나무/꽃 심기, 장식하기 (마사토, 자갈 도포 등)
1, 2단계에 들어가는 비용은 정해져 있다. 화단 크기만 잘 계산하면 된다. 3단계인 심기, 장식하기 과정에서는 개인 취향에 따라 수 만원에서 수 십 만원 이상 들어갈 수 있다.

1단계: 화단 크기만 정해져 있으면 구매와 설치가 그냥 된다. 바닥 면적을 기준으로 계산하되 화단 높이까지 감안해야 한다. 마감처리를 위해 여유 있게 크기를 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흙이나 물 넘침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을 화단 위로 약간 높게 올릴 수도 있다.

웬만한 바닥은 방수가 이미 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 비닐은 방수 목적보다 바닥 면의 오염 방지가 더 커 보인다. 바닥 면 기준으로 세 겹 깐다. 위에 말한 것처럼 높이와 여분을 적당해 조절해야 한다. 그 위에 배수판을 깔고, 그 위에 부직포를 두세 겹 깔면 된다. 구배(배수)를 감안하여 배수 위치를 잘 고민해야 한다.



2단계: 무엇을 심을지 대략 결정해야 한다. 나무 심을 예정이면 수종에 따라 충분한 뿌리 공간을 확보해 줘야 한다. 바닥 면적은 이미 알고 있으니까 흙 깊이 대략 계산해 보면 흙이 들어갈 공간의 부피가 계산된다. 부피 계산되면 1.5~2배 수준의 흙을 구입하면 된다. 배수판 등에 의해 내적이 줄어들지만 흙 들이 붓다 보면 다져 지면서 한도 끝도 없이 들어간다. 또한 배양토 실제 양이 겉면에 표시된 것보다 적다. 이걸 예상 못해 동네 꽃가게에 흙 사러 몇 번을 갔는지...... ㅎㅎ

화단에 사용할 흙은 여러 기능성 흙을 조합해야 하는데 (직접 그렇게 할까도 계획 했음) 전문가가 아닌 이상 너무 번거롭다. 이미 배합이 되어 있는 배양토를 사면 된다. 원예용이라고 써 있는 것이면 된다. 사러 가서 물어봐도 되고.

화단 높이 이상으로 흙을 쌓으려면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된 담장을 사서 높이를 유지하면 된다. 담장을 지지 하는 데는 공사판에서 쓰는 막 벽돌을 사용했다. 담을 세우고 화단 안에 벽돌을 적당히 쌓아 고정한 후 흙을 부으면 된다.



3단계: 왕 초보인지라 뭘 심어야 할 지도 난감했다. 화단 크기를 확실히 계산해서 꽃나무 시장에 갔다. 여러 사장님들 도움으로 일부 싸게 일부 바가지 쓰고 샀다. 첫 번째, 실내 또는 베란다에 적합한지 확인해야 한다. 아무리 아름다운 나무도 베란다에서 하루도 할 수 없다면 꽝! 두 번째, 화단 깊이. 화단 깊이가 사려고 하는 나무의 뿌리 깊이를 감당할 수 있는지. 셋 째, 물 주는 주기. 화단 넓은 면에 여러 종류의 나무와 꽃을 심게 된다. 당근, 물 주는 주기가 대략 일치해야 한다.

수종이나 꽃의 심는 방법에 맞춰 심고 나서, 마사토를 덮는다. 물 줄 때마다 흙이 흘러 내리지 않게 하는 것이 최대 목적이다. 그리고 나서 자갈 장식을 한다. 수반, 어항, 분수 등의 장식은 취향에 따라...... 끝!



참고로, 꽃나무는 도매 시장에서 싸면 조금 싸다. 흥정을 잘못하면 더 비쌀 수도 있지만. 양재 꽃 시장을 도매 시장으로 알고 있었는데 돌아다녀 보니 소매 시장에 가깝다. 47번 국도 주암교와 LG전자 서초 캠퍼스 사이에 과천화훼 직판장이 있다. 과천 쪽에서 간다고 가정하면 진행 방향 오른쪽이다. 도로변이라 잘 안 보이는데 해당 구간 내에서 아무 곳에서나 우회전 해 들어가면 무지 큰 시장이 펼쳐져 있다. 화훼 자재 없는 것이 없고 꽃나무 없는 것이 없다. 다만, 진짜 도매라 그런지 꽃은 한 판씩 팔고 현금만 받는다. 깡 시골처럼 보이는데 구내에 농협 현금 지급기도 있다. 돈과 현금 카드만 있으면 된다. ^_^;

또 한가지! 물 주는 주기 때문에 같이 심기가 곤란한 것은 그냥 화분 째 올려 놓아도 된다.

Farming 2010; the same but challenging

  • Posted on
  • by
  • in
Last year's great experience from weekend family farm led me to another challenge right after move-out to new home. Beginning March, I went around so many places to locate the best family farm nearby new house. I paid yearly rental for a farm block out of five candidates April. This post is a story from "getting started" to "up-to-date" development.



This year's land space is bigger by 1.5 times than previous one at SanBon. Per-square rental fee is higher approximately by 1.5 times, too. Land shape is long bar type whereas last year's was nearly square.



One of the lessons learnt last year is that I have to focus on manageable number of varieties on a farm block. Planting, eradicating in case of failure, and their repetition over so many varieties took so much amount of time seriously. Another lesson is that lettuce yield resulted in oversupply for my family. With these two key experiences, I partitioned the farm block roughly into four pieces; green pea block (30%), maize block (30%), tomato/chilly block (25%), and lettuce block (15%). Then, stake planting followed.

As of today, all blocks are going well without any risky symptom yet because mos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seem to be identical to or better than those last year; easy access to water supply, no need to shape farm block itself (initial plowing done by landlord), no need to mix fertilizer (done by landlord, too), and so on.

However, one unforeseen circumstance may impact on crop yield as well as the success of this year's farming in the long run. That is anomaly in Korea's climate. I never experienced such terrible weathers during this season since my birth; harsh up-and-down in temperature, high wind, lack of sunshine, and so forth. Weather forecast confirms such kind of anomalies all through this year.



For instance, early seedlings from other's blocks are already suffering from early blossom, early drop, and no or weak ovary. In my case, most varieties got started with direct seeding to escape from early mature. It was a sort of strategic and right decision that I had never tried last year, at least, until now. However, I'm sure that the more difficulties will await me. That's why I have to go through another challenge this year dealing with weekend farming

Switching over to iPhone; joy of mobility

  • Posted on
  • by
  • in
One of my recent jokes with colleagues and friends was, "Everything is ready with me except an iPhone." All services as well as facilities that I had subscribed and run were mobile aware and ready to interconnect with mobile devices. The first photo upload dates back to August 2006 at flickr. The first blog post was made April 2005. Others around that time.

With the start of iPhone service a month ago, I signed up subscription plan with black colored handset. The iPhone enabled me to access Internet services from wherever I am. There is no change in services that I would enjoy; however, there is dramatic change in the way of using them with the help of Wi-Fi or 3G network omnipresent.

It's time to say bye-bye to this old handset below. Huh, nearly 5 years with me.

Clearing Message Boxes

  • Posted on
  • by
  • in
Having intended not to put a post on this blog for a while (long while as a result, though), I used to devote myself to another challenging things. The last post dated May 29 remained latest post here. :-D The challenging things were near at an end beginning September. However, I could not completely finalize them since the end of the month. "Decision and focus" policy failed in the long run. "Get all, then manage them" I took.



Breaking the silence today, I updated status of services which I had been involved in. Absence from there led the stacking of messages I did not reply to yet. Feedbacks from friends as well as unknown others were responded gently because they were ignored thoroughly so far. There is something notable upon status updates.

  • Twitter: several became followers who I did not know. I wonder whether I can drop my on-time trace to share with them. Anyway, Twitter should be operational for them. :-D
  • Plaxo: a certain friend's network suggested several job offers with private email. Headhunters tried to reach me. I did not respond, however. I am still alive on a job market as a hunter's prospective prey or bait :-)
  • Linkedin: Colleagues updated their networks with me.
  • YouTube: Channel view marked over 1,500. I realized that my videos were being watched by friends and YouTube folks AT ANY RATE. I can't stop YouTube-ing.
  • Flickr: Several shots became other's favorites. Somebody pulled the naked David shot for his or her blog. Another person requested me to permit the use of one of my toilet shots by courtesy. The shot does not require permission as long as it is used properly against Creative Common License. It may appear on a certain magazine. (I will let you know when available, Dear readers!)
  • Mar.gar.in/delicious: nothing special; I just did not do anything.
  • Facebook/Hi5/Tagged: I could not manage them. So so so many messages :-) However, "Get all, then manage them" discipline will work soon.
  • Other services I would rarely visit: no idea yet; delete or do something

Fight against bugs and diseases at the farm

  • Posted on
  • by
  • in
Weekend family farm played best role as a gathering point among friends as well as family members so far. Cultivation efforts strengthened friendship and kinship with collaboration. Seeding and transplanting, after all, produced kinds of vegetables for daily consumption. I don't need to include the names of vegetables in my shopping list accordingly.



We intended chemical-free farming at the beginning. It seemed that we would abide by that rule until the end farming cycle (late fall) because we did not feed anything except water. Last visit got us shocked, however. The farm land was covered by endemic diseases and bugs as shown below. Some block damaged seriously whereas others got slightly.



Our block also got affected in several rows and columns. Kale and Pak Choi were nearly gone away or under bugs' bites :-( All of them were digged out entirely



It's clear that we have two options; 1. Applying insecticide 2. Leaving them as a part of nature. We came to a conclusion that you will not apply chemicals as possible. One strategic alternative for leaf vegetables is to harvest them when they become big sprouts (not when they get fully grown) to minimize possibility of exposure to bugs and diseases.

Nothing yet determined for root vegetables of (sweet) potato, bean (victim of wild animals) and maize (smelling yummy for crows)! Give me some idea not to pollute environment and not to harm human at the same time!
(올바른 국어 사용을 위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사용했습니다.)

한겨레21 정기구독자 사은품을 며칠 전에 받았다. 내용물은 손수건과 비누. 모두 공정 무역을 통해 생산되어 유통되는 물건이라는 해설과 함께. 공정무역을 끊임없이 소개해온 잡지에 걸맞게 사은품도 공정 무역 제품이었던 것이다.



구매와 소비는 전적으로 주관적 선택의 문제이지만 지난 수년간 머리로는 공정 무역에 공감했다. 그러나 기존 유통 질서에 묻혀 무의식적으로 지내다 보니 행동으로 옮기기가 쉽지 않다. 관련 매장을 찾거나 실제 구매를 해본 적도 없다. 혹시나 싶어, 비누 뒷면에 있는 홈피에 (fairtradekorea.co.kr) 접속했다. 유통되는 물건의 종류가 생각보다 다양했다. 뭔가 살 것이 생기면 일단 여기 한번 둘러봐야겠다.
(올바른 국어 사용을 위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사용했습니다.)

참살이 바람을 타고 주말 농장이 인기다. 집안의 숙원 사업 중 하나이기도 해서 2009년 4월 4일 드디어 5평 넓이의 주말 농장을 시작했다. 첫 삽을 뜬 이후 한 달 정도 지났다. 그간 일어난 왕초보 농사꾼의 좌충우돌 경작기와 느낌을 정리했다. 멋모르고 시작한 초짜의 심정이라고 보면 된다. 주말 농장을 할까 말까 고민하는 있는 "초짜" 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주말에만 가면 된다? 답은 "매일 가야 한다."다. 주말이라는 단어에 현혹되어 주말 작업으로 모든 것이 해결될 것 같은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규모만 작을 뿐 일반적인 농업, 농사다. 이게 본질이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24시간 항시 대기다. 그날 일기에 따라 해야 í•  것이 매번 달라지는 고난의 연속이다.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은 최소한 이틀에 한 번 정도 가야 한다. :-D
  • 유기농이 가능하다? 유기농의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무농약과 무약품 등의 관점에서 보자면 주말 농장은 이 같은 환상과 거리가 먼 것 같다. 정말로 순수한 유기농을 실현하는 주말 농장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대부분 비료 농약 없이 무엇을 재배한다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다만, 대규모 상업적 농업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농약 비료를 "덜" 사용한다는 것을 유기농으로 ë³¼ 수도 있을 것이다.
  • 사 먹는 것보다 싸다? 비싸면 비쌌지 절대 싸지 않을 것 같다. 주말 농장에서 (주로 밭농사다.) 재배하는 것은 주로 (쌈) 채소류와 구황 작물이다. 이들의 ì—°ê°„ 재배 비용을 최소 기준으로 계산해보자. 농장 ì—°ê°„ 임대료 5ë§Œ 원 지급했다. 5평 기준으로 싼 편이다. 첫날, 퇴비로 1ë§Œ 원 지급했다. 종자 비용으로 1ë§Œ 원 정도 들었다. 종자 1봉이 평균 2,000원 안팎이다. 모종 형태로 (어느 정도 자란 작물을 사서 옮겨심기) 재배하기 시작하면 돈이 감당 안 된다. 여기까지만 해도 7ë§Œ 원이다. 봄에 심거나 뿌린 작물이 죽지 않았을 때 얘기다. 교통비, 시간/노력비용, 농약 ê°’ 등도 제외했다. 각자 이런저런 비용 나름대로 고려해보자. 사 먹는 것보다 쌀 수가 없을 것이다.
  • 그럼에도, 왜? 한 달 동안 삽질의 연속이었다. 물 주는 시기를 놓쳐 (정말 일주일에 한 번 갔더니만 ã…‹ã…‹) 씨가 다 죽어 ë°­ 일부를 갈아엎었다. 모종을 사다 심었는데 다음날 비바람이 몰아쳐 몇몇이 꺾어져 죽었다. (이후 지지대를 세워 하나씩 고정했다.) 실패에 대한 무력감과 예상치 않은 추가되는 비용 때문에 스트레스 점점 쌓여간다. 그렇다면, 왜 주말 농장을 하는가? 주말 농장과 농사짓는 일은 가족 ê°„ 화목과 단합을 이끌어 내는 힘을 가지고 있다. 풍작이라는 공통 관심사를 향해 온 가족이 연중 자연스럽게 협업하는 형국을 갖추게 된다. 유아나 아동에게는 ì²´í—˜ 학습의 장을 제공한다. 매주 소풍 가는 듯한 느낌이 든다.
겁 없이 달려들어 무지 고생하고 있다. 혹시 내년도에 주말 농장 계획 중인 분들은 위 내용 다시 음미하시라. 이미 발 들여 놓은 나는 어쩔 수 없이 올해 가을까지 쭈~~~욱 가야 한다. 아~ 삽질이여.

Death always makes us sad :-(

  • Posted on
  • by
  • in
  • I attended a funeral at Mokpo this week, to offer my condolences to a friend, whose mother has demised.
  • Coincidentally, I had to pull out fishes' carcasses from my tank the other day.
Death always makes us sad.

Café Street at JeongJa-dong

  • Posted on
  • by
  • in
It's darker under a candle. (등잔 밑이 어둡다) This Korea's proverb implies that vicinity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closeness in mind or whatever. In this way, Café Street nearby my office was out of reach since the settlement at KINS tower, JeongJa-dong.

At last, I lunched out with colleagues at a certain Chinese restaurant, one of bustling spots there. Soft breezing made us garrulous over nice dishes all the way of lunch hour. Gee, however, not cost effective! :-D

Weekend Family Farm

  • Posted on
  • by
  • in
Located at the foot of Suri san (mountain), 16.5 square meters land space got committed to my family for yearly cultivation only. This is called, weekend family farm, 주말농장. Aiming at full supply of KimChi (김치) material for KimJang (김장), I got around to field arrangement last weekend. It was the first time in my life that I had plowed farm field not for fun. During this spring and coming summer, I will grow varieties of vegetables like chilly, lettuce, young radish, kale, and so on. I have to be keen to weather forecast as a farmer from now on. :-)

My own shots from N Seoul Tower

  • Posted on
  • by
  • in
N Seoul Tower, located at the top of Namsan, the center of Seoul city, boasted its illumination as shown below. At last, my handy camera, Canon Digital IXUS 80 IS, succeeded in capturing fantastic views with acceptable image quality. I used to rush into getting in and out the observatory due to tight travelling schedule with my guests in most cases.

(올바른 국어 사용을 위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사용했습니다.)

명산 설악산. 다소 어려운 산행이었다. 대청봉 정상 및 부근에서의 추위와 바람 때문이었는데, 나름 준비는 많이 했지만, 자연의 힘 앞에서는 어쩔 수 없었다. 나머지 경로에서는 큰 문제 없었다. 오색-대청봉-회운각-비선대-설악동 경로를 잡았다. 새벽 4시에 출발해 오후 5시쯤 도착했다.

강남 터미널에서 1월 22일 오후 11시 30분에 속초/양양행 버스를 탔다. 양양에서 내렸다. 터미널이 아닌 길가 버스 정류장에서 내리는데 (약간 황당), 내리면 그냥 벌판이다. 내려서 뭘 할 수 있는 곳이 아니다. 그래서 오색까지 택시로 바로 이동했다. 택시비는 2-3만 원 정도였다. 미터 요금으로 가면 된다. 일찍 도착해서 한 시간 정도 대기했다. 4시에 등산로가 열리자마자 출발했다.

정상까지 가장 빠른 경로라고 해서 오색에서 출발한 것인데, 너무 무미건조했다. 캄캄한 새벽 시간이라 보이는 것이 없어서 그런 것이기도 하지만, 등산로 자체가 계단, 아니면 가파른 오르막이다. 관악산의 과천-연주대 코스와 비슷한데 훨씬 재미없다. 아무 생각 없이 너덧 시간 운동 삼아 오른다고 보면 된다. ㅋㅋ

정상인 대청봉에서의 기상 상태는 기온 영하 26도 이하, 풍속 초속 16미터 이상, 체감 온도 영하 53도 이하였다. 중청 대피소에서 들은 대략적인 수치다. 아무 탈 없이 잘 내려오기는 했지만, 대청봉에 경험한 추위와 바람은 기억하고 싶지 않을 정도로 매서웠다. 정상에 오래 머무는 것이 곤란했지만, 거센 바람 때문에 빨리 내려오는 것 역시 어려웠다. 모든 상황은 생명에 위협을 줄 정도였다. 추위에 떨며 엉금엉금 내려왔다. 덕분에 왼쪽 볼에 엄지손가락 만한 동상에 걸렸다. 으~~~ 선글라스와 마스크 사이로 파고든 칼바람 땀시...

대청봉 옆 중청 대피소는 말 그대로 오아시스였다. 언 몸을 녹이고 정신 차리는데 시간 반 정도 썼다. 시간이 지나도 추위가 가시질 않았기 때문이다. 예상은 했지만, 사발면, 어묵 같은 것은 안 판다. 취사도구를 가져가거나 음식물을 싸 가야 한다. 우리 일행이 가져간 과일은 얼어서 먹지를 못했다. 얼지 않은 부식과 자판기 커피로 끼니를 때우고 다시 출발했다.

하산은 등산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다. 대청봉과 비교하면 추위 바람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쌓인 눈 때문에 스파이크 차고 내려왔다. 중청에서의 휴식 시간이 길어 조금 서둘러 내려왔다. 그렇지만, 속된 말로 "널널" 했기 때문에 내려오면서 사진도 많이 찍고, 쉬기도 해서 오후 5시쯤 설악동에 도착했다.

The Daechongbong, the peak of Seoraksan, is famous for outstanding beauty with flowers and plants all around. Especially, the autumn season, showing off colorful maples, attracts most of Korean and travelers from overseas. Then, what if at a cold day in winter?

The severity from harsh wind and low temperature was far more than I expected upon our departure for Seoraksan from Seoul. Sensible temperature at the peak marked, at most, -50 degree in Celsius whereas thermometer reads around -26 and wind travels in 16 meter per second. Nobody there could keep standing a second with strong wind. I could manage to move on with the help of rope along the pathway at earthworm speed. I was so scared because failing in rope grasp might have led me to fall down to cliff.

After all, I got to a shelter at the foot of the peak suffering from frostbite on my left cheek, thumb sized area directly exposed to wind. Anyway, I survived extremity. You can imagine how harsh wind was by checking out audio clip that I captured at the waist of Seoraksan, not at the peak. :-( At the peak? It's up to your imagination!

The pain of Naksansa for all of us to heal

  • Posted on
  • by
  • in
No matter what made a fire caught, immovable fact is that ancestor's spirit from Naksansa, one of major Buddhist temples in Korea, has gone away already. The fire originated nearby, then propagated to Naksansa and its outskirts. Most of national treasures of buildings, big bell, and wooden architecture as well as forests turned into ashes. These were what I could hear and remember about 2005's fire breakout.

When I visited there several days ago, its appearance seemed to be better than before. Artificial objects like architectures restored appropriately. Nevertheless, bald mountains and coarse forest still made me frown. Natural resource can disappear within a second but can't recover even in a decade.

Switchover completed; good luck 2009!

  • Posted on
  • by
  • in
Note switchover completed by spending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transcribing action items undone in the year of 2008 from handy paper bound note in white color to small ring binder wrapped with leather folder.

I don't believe in jinx. However, recollecting memories of over the last ten years, I was on right track with that small ring binder whenever I challenged something; getting an admission to Ph.D. course in USA, passing KOV screening, and joining Siemens. It stayed six years inside a carton at home. Then, January 2009 welcomed it again.

That's one of graduation presents from one of best friends. That's, at the same time, the only thing still available with me out of what I got from friends.

Precious and luck bearing object it is!

Dietary Plan (나의 다이어트)

  • Posted on
  • by
  • in

예전 다이어트 메뉴에 약간 변화를 주었다. 중요한 변화는 나또와 미소 국물을 추가한 것이다. 나또는 사서 그냥 포장된 채로 가져오면 되는데, 미소는 약간의 공정이 필요하다. 버섯, 두부, 파를 적당량 썰어 담고 미소를 한스푼 정도 넣어 가져와야 한다. 먹을 때에는 온수를 부어 전자레인지에 2분 가량 돌리면 된다. 미소 준비가 여의치 않을 때에는 순두부 하나를 날로 먹는다. 채소에 드레싱을 하지 않고 먹는 것이 핵심!!! ㅎㅎ